<aside>
</aside>
슬라이드 1
안녕하세요. 서울대학교 AI 연구원의 오주희입니다. 워크숍 참여자 분들 중 소프트 미팅과 개별 인터뷰에 참여하지 못하셨던 분들도 계셔서 짧은 5, 6분 정도의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. 개별 인터뷰 이후에 수정된 사항들도 반영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.
슬라이드 2
AVPN과 서울대학교 AI 연구원의 협력 하에 AI Opportunity라는 공통 커리큘럼이 구성되었으며
슬라이드 3
워크숍을 통해 여러분들이 주요하게 하실 작업은 교사, 취업 준비생이라는 각자의 타겟 학습자에 맞게 이 공통 커리큘럼을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입니다.
슬라이드 4
공통 커리큘럼은 기본적으로 화면에 보이는 학습 순서를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는데요. 영상 강의부터 추가 학습까지는 학습자들의 셀프 스터디로 진행되고 다섯 번째 단계인 마무리 세션은 강사가 주도하는 실시간 학습으로 진행됩니다. 이 셀프 스터디로 진행되는 네 가지 단계를 위한 자료들을 학습 콘텐츠라고 지칭하겠습니다.
슬라이드 5
이번 워크숍은 총 5회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 중 1회차부터 3회차까지가 학습 콘텐츠를 커스텀하는 단계입니다.
슬라이드 6
즉 기존의 영상 강의, 읽기 자료, 개인 과제, 추가 학습 자료를 커스텀하는 것이지요. 세부 내용을 말씀드리자면 워크숍 전 사전 과제로 두 가지가 주어집니다. AI 기초 모듈 학습과 해당 모듈에 대한 개별 커스텀 아이디에이션입니다.
슬라이드 7
1회차 워크숍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1회차에서는 모듈 1 커스텀을 진행하게 됩니다. 따라서 여러분들은 사전 과제로 AI 기초 모듈 1을 학습하신 모듈 1을 타겟 학습자에 맞게 어떻게 수정 보완할 수 있는지 아이디어를 구상해 주시면 됩니다. 참고로 이 두 가지 과제는 팀 과제가 아닌 개별 과제이므로 모든 워크숍 참여자 분들께서 해 주셔야 합니다.
슬라이드 8
이후 워크숍에서는 AI 연구원이 간단히 모듈 오버뷰를 먼저 진행합니다. 저희도 AVPN에서 준 자료를 한 차례 커스텀했기 때문에 어떤 의도와 맥락에서 커스텀을 진행했고 또 자료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공유해 드리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 이후에는 기관별로 모여서 각자의 사전 과제 내용, 즉 개별 커스터마이제이션 내용을 공유하고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안을 도출합니다. 이 단계가 두 번째 기관별 커스텀 아이디에이션 단계입니다. 이후에 Presentation & Discussion 단계에서 이 기관별 커스텀 아이디에이션 내용을 발표하고, 서로 다른 LTP 간에 의견을 공유하는 것으로 워크숍이 마무리됩니다. 이때 유의미한 피드백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설정하고 있는 타겟 학습자, 그리고 교육 방향성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되겠죠?
슬라이드 9
그래서 1회차 사전 과제로 또 주어지는 것이 타겟 학습자 특성 분석 및 커리큘럼 방향성 논의 과제입니다. 이 과제는 팀 과제이니 한 LTP별로 하나의 결과물을 도출해 주시면 되고,